티스토리 뷰
1. 파일 업로드
AttachDTO(그룹ID) 객체로 AttachFileDTO(실제 파일) 목록을 받아와서 File 객체를 생성하여
서버 저장공간에 하나 씩 저장하면서 서버의 파일정보가 담긴 AttachDetailEntity를 생성해준다.
모든 AttachFileDTO목록이 끝나면 DB에 AttachEntity 의 정보를 JPA를 통해 입력시켜준다.
2. 파일 조회
조회 시에는 JPA Find 를 통해 Attach정보를 찾아와서 AttachEntity 객체를 생성해준다. AttachEntity에는 1:N의
AttachDetailList가 있기 때문에 같이 조회해온다.
프론트에서는 이 데이터를 받아서 서버 파일 경로와 파일 이름등을 맵핑시켜 데이터를 출력해준다.
3. 파일 삭제
파일을 제거하기 위해 DB에서 조회할 수 있는 attachID로 객체정보를 가져온 후 java에서 파일 객체 생성 후 file.delete()
명령어를 진행하면 해당 파일이 삭제된다. 모든 파일이 삭제 되고나서
JPA 를 통해 DB에서 해당 파일 내역들을 싹다 청소해준다. (혹은 UPDATE로 Y/N표시)
4. 파일 수정
파일을 수정하기위해 Front에서 2가지 정보를 받아야한다.
AttachDTO에 추가될 파일들과 삭제될 파일들의 정보를 받아온다.
uploadFileList에 한해서는 파일업로드가 과정이 진행되어야하며, 기존 attach Entity 의 ID값을 가지고 등록을 해준다.
삭제될 파일들의 경우 attachDetail Entity 의 ID값을 순회돌면서 파일 삭제 과정을 처리해준다.
이 과정이 모두 종류되면 AttachEntity에 save처리를 해서 DB에 입력/삭제를 진행한다.